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Pro

한기대 학은제 수강신청 후기 (2024-2) 본문

학점은행제

한기대 학은제 수강신청 후기 (2024-2)

피나콜 2024. 8. 23. 13:19

2024년도 2학기 한기대 수강신청 후기

 

몇년전까지만 해도 그냥 학습목표나 그런건 쫙 긁어다가 해도 되었겠지만 이젠 아니다. 생각보다 신청인원이 많아서 인지 점수제도가 확실하다. 성의없는 복붙의 경우 광탈이다. 추합에도 안들어가니 확실하게 수강신청을 써야한다.  

 

우선 결과만 이야기하자면

C언어, 알고리즘, 운영체제 3과목 합격

자료구조 1과목 탈락 

 

점수 산정방식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는데, 

 

 

총점40점이라 동점자가 많이 발생할거같은데 동점자의 경우 

이와같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서, 평가 영역과 평가사항까지 봤다면 이제 "수강신청 글을 어떻게 써야하는가 ?" 이게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다. 

 

이건 학습 필요성 그리고 성실도에 엮어서 작성하는게 중요한데, 특히 경험에 엮어서 서술하는게 좋다. 

 

본인의경우

합격했던 C언어, 알고리즘, 운영체제 모두 경험에 빗대어 수강신청글을 사용했다. 

 

우선 경험을 말하자면, 나는 16개월정도 개발프로젝트를 참여한바 있다. 프로젝트에서 비전공 노베이스 아무런 지식이 없는채로 시작해서 처음에는 언어부터 익히고 점점 지식을 쌓아나갔는데 이 과정과 수강신청 글을 엮었다. 

 

알고리즘의 경우, 학습 목표 : 

 개발 프로젝트에서 **,@@,~~ 알고리즘을 사용해보았다. 단순히 해당 지식을 습득하고 Git이나 외부 프로젝트를 통해 통째로 코드 자체를 뜯어오는건 가능했으나 ~~상황에 맞게 ^^알고리즘을 변형해야했고, 이런부분에 부족함을 느껴 기초부터 공부하여 깊이 이해하고 ##점을 개선하는방식으로 학습 능력을 기르고자 다음과 같은 학습 목표를 세워 강의를 수강하고자 한다. 

 

학습계획 : 

1. 기초 학습

2. ## 점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공부 

3. ##점을 @@ 알고리즘과 ~~ 알고리즘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생각해보기 

4. 진행했던 프로젝트에 들어갈수있었던 다른 알고리즘, 시간복잡도와 연계하여 다른알고리즘을 어떤걸 넣을 수 있었는지 생각해보기 

 

이런 배경으로 운영체제, c언어, 자료구조를 작성했다. 

 

솔직히 자료구조는.. 16개월 프로젝트하는데 자료구조 잘 못쓰는게 이상한거다. map, set, vector, list 다 갖다 쓰고 동적할당에 시도때도없이 free하면서 메모리누수 잡는데 몇시간을 썼는데 자료구조를 내가 개념이부족하다. 기초가 부족하다 이렇게 쓰기가 애매했다. 좀더 내가 이걸 공부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고 동기가 매우 명확하다 라는 설명을 제대로 못한것같다.

 

나중에 추합도 뜰수있도록 기대는하지만.. 이미 저거 3개만 들어도 학점끝나서 이제 졸업할수있을거같다.